Report 230 / Asia 3 minutes

북한의 권력세습과 불안정성의 위험

  • Share
  • Save
  • Print
  • Download PDF

개요

권위주의 정권에서의 권력 이행은 종종 위기의 단초가 되기도 하지만, 북한의 경우 권력세습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후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김정은이 정권을 잡지 못했음을 암시하는 단서는 보이지 않는다. 권력세습에 대한 군부의 저항이 부재하고, 중국도 권력세습을 명백하게 지지하고 있다. 여전히 단일 지도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북한의 체제는 나이가 더 많은 가족이나 장군들의 섭정과는 거리가 멀며, 건국자 김일성의 탄생 백주년을 기념하며 안정적이고 단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지도자가 북한 주민들의 운명을 개선하거나 평양을 중심으로 한 중앙과 지방 간의 갈등을 줄일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징조는 보이지 않는다.  

김일성은 그의 아들 김정일로의 권력세습을 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였다. 북한 정권은 김정일이 후계자로 지목된 1974년부터 20년 동안 세습을 준비할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두 번째 권력 세습은 급하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고, 따라서 많은 분석가들은 이것이 실패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정일이 권력세습에 대해 그의 아버지 만큼 많은 관심을 쏟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북한 관찰자들은 김정일이 사망하기 전 약 십 년에 걸쳐 내부적으로 권력 세습을 준비해 왔음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많은 이들이 군부를 비롯한 북한 내 핵심 권력집단이 쿠데타를 일으켜 김정은을 축출하거나 허수아비로 만들어 막후 통치를 할 것으로 예측 했다.

이러한 분석 중 많은 부분은 북한의 사상과 정치제도에 대한 잘못된 전제와 오해에 기인한다. 오직 소수 인사만이 김씨 일가에 대한 쿠데타를 모의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많은 분석가들이 김정은과 고위 지도층의 이해관계가 엇갈릴 것으로 단순 가정하였지만, 2012년 7월 15일 인민군 총참모장이었던 리영호 차수의 해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고위 당 관료들과 군부의 이해관계는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이 직접 통치할 수 있을 때까지 고위 관료 들의 섭정이 필요한 이유로 그의 어린 나이와 경험 부족이 종종 언급된다. 어떤 이들은 김정은이 그의 아버지처럼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지는 못할 것 이라고 주장하며, 따라서 권력 이양과 분권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북한 정권이 일인독재 체제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분권화된 지도체계 를 가지게 될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경제개혁 의 가능성, 핵무기 개발 혹은 포기 등 중요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의 추측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에게 권력이 극도로 집중된 독재체제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만성적인 안보 불안, 계획경제, 강력한 민주집중제의 전통, 복잡한 정치제도와 잘 발달된 고유의 사상은 모두 김씨 일가에 대한 숭배와 권력 집중을 강화해주고 있다. 이를 통해 권력 세습은 순조롭게 이루어졌으며, 새로운 정권이 가까운 미래에 개혁을 단행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권력세습은 마무리되었지만, 북한의 지도부는 어려운 딜레마에 봉착해 있다. 북한의 낙후된 경제는 장기적으로 볼 때 정권을 가장 크게 위협 하는 요소이다. 간단한 개혁을 통해 자원분배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개선할 수는 있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김정은이 자신의 정치적 정당성의 기반인, 몇십년 동안 이어진 체제와 사상을 부인해야만 한다. 그러나 그가 권력을 유지하기 바랄 경우,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유산을 포기하는 것은 합리적 이지 않다.

김정은의 어린 나이와 비교적 카리스마 있는 성격으로 볼 때 몇십년 동안 정권을 유지할 가능성 이 있다. 그러나 만약 개혁을 하는 데 실패 한다면, 인간안보 및 식량안보의 불안으로 인한 비용이 높게 유지될 것이다. 지속되는 고립과 “선군”의 지향은 정권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대결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적들과의 재래식 무기경쟁을 지속할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북한은 자국의 안보를 위해 핵무기를 포함한 비대칭적 능력에 더욱 의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중국, 러시아, 미국 등 여러 핵심 국가들이 선거를 치르고 정권을 교체하는 동안 불확실성의 시기가 이어질 것임을 의미한다. 북한의 지도부는 북한의 또다른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압력을 느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이 국내 정치에 치중하는 동안에는 장거리 미사일이나 핵장치를 실험하는 것에 대한 평양의 위험부담이 낮아질 수 있다. 만약 북한이 실험을 강행하고자 한다면, 이를 만류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을 것이다. 강력한 억제와 봉쇄만이 현실적 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은의 북한은 안정되어 있다. 왕조적 권력 계승에 대한 반대의 징후는 없으며, 변화는 거대한 장벽에 가로막혀 있다. 북한의 현 체제가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지만, 점진적인 변화와 대한민국 과의 평화통일은 아직 상상하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의 유지는 번영이 아닌 오직 수백만의 북한 주민들이 겪고 있는 탄압과 낙후된 생활만을 심화 시킬 것이다.  

서울/베이징/브뤼셀, 2012년 7월 25일

Executive Summary

Transitions often present risks to authoritarian regimes, but the succession in North Korea has apparently passed with few problems. With no opposition from the military and China’s clear support, there are no signs to suggest that Kim Jŏng-ŭn, the young leader who replaced his father, Kim Jong-il, following his death in December 2011, is anything but in charge in his own right. Far from creating a regency of older family members or generals, the North Korean system has maintained its focus on a single leader and projected an image of stability and unity as it celebrates the centenary of the birth of its founder, Kim Il-sung. While that image appears to be accurate, there is nothing to suggest that the new leader is or will become inclined to take measures that would either improve the lot of the country’s citizens or reduce the regional frictions that Pyongyang is at the centre of.

Kim Il-sung invested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to ensure the transfer of power to his son, Kim Jong-il. The regime had two decades to prepare after Kim was anointed successor in 1974. In contrast, the second dynastic succession appeared to be rushed, leading many analysts to believe it would fail. However, though Kim Jong-il did not devote as much attention to succession as his father had, most North Korea watchers failed to recognise that the regime began internal preparations about a decade before his death. Many surmised that a committee of powerful figures, probably from the military, would step in and either oust Kim Jŏng-ŭn in a coup d’état or prop him up as a figurehead and rule behind the scenes.

Most of this analysis was based on flawed assumptions and misunderstandings of North Korean ideology and political institutions. Only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would have the capacity to conspire and execute a coup against the Kim family. Many analysts simply assumed the interests of the senior ruling elite and Kim Jŏng-ŭn diverge, but there are no clear signs that they do, despite the dismissal of Vice Marshal Ri Yŏng-ho, the former chief of the General Staff, on 15 July 2012. Arguably, the interests of senior party and military officials remain almost perfectly aligned.

Kim’s youth and inexperience often have been cited as reasons necessitating a regency of senior officials to rule until he is up to the task. Some have argued that he could not wield the extraordinary powers of his father, and therefore power would devolve in an unavoidable decentralisation process. Whether the regime continues as a personalised dictatorship or assumes a decentralised leadership structure matters, because it could affect several important policy decision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economic reform and the development or abandonment of nuclear weapons.

Despite widespread speculation, several factors support the continuation of an extremely concentrated, one-man dictatorship. Chronic insecurity, a command economy, a strong tradition of democratic centralism, a complex structure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a well-developed indigenous ideology all reinforce the Kim family cult and concentration of power. The apparent result is a smooth succession with little prospect for reform in the near future.

Although the succession is complete, the leadership faces difficult dilemmas. The poor economy remains the greatest long-term threat to the regime. Simple reforms could improve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but would require repudiation of a decades-old system and ideology that form the foundation of Kim Jŏng-ŭn’s political legitimacy. Renouncing his grandfather’s and father’s legacies would not be rational if he wishes to remain in power.

Kim’s youth and relatively charismatic personality suggest he could be in power for decades. But if the regime fails to reform, the costs in terms of human insecurity and food insecurity will remain high. Continued isolation and “military first” orientation would predispose the regime to maintain its confrontational posture. Without the resources to sustain a conventional arms race with its adversaries, however, it would need increasingly to rely upon asymmetric capabilities, including nuclear weapons, for its security.

This indicates a period of uncertainty just as several key countries – China, Russia and the U.S. – face leadership changes or election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leadership seems to be feeling international pressure aimed at dissuading it from another nuclear test. However, as others increasingly focus on domestic politics, Pyongyang might feel there is little risk in testing more long-range missiles or another nuclear device. If it is strongly motivated to do so, there is probably little that could dissuade it. The only realistic strategy would be robust deterrence and containment.

North Korea under Kim Jŏng-ŭn is stable. There is no sign of any opposition to the dynastic succession, and the barriers to change are tremendous. However, the system is not sustainable forever, and it is difficult to imagine a gradual transformation and peaceful integration with South Korea. Meanwhile, reinforcing the status quo will not bring prosperity, only more backwardness and oppression for millions of North Koreans.

Seoul/Beijing/Brussels, 25 July 2012

Subscribe to Crisis Group’s Email Updates

Receive the best source of conflict analysis right in your in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