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 Asia 3 minutes

위험한 여정: 중국과 제3국에 체류중인 북한사람들의 참상

  • Share
  • 저장
  • 인쇄
  • Download PDF Full Report

연구 요약

수십만명의 북한사람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목 숨을 걸고 북한을 탈출해 왔다. 북한의 핵프로그 램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자문제는 무관심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인도 주의에의 도전이 되고 있다. 단지 9,000명이 조 금 넘는 탈북자들이 안전을 확보했다. 대부분은 남한에, 그리고 일부는 일본, 유럽, 미국에 정착 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중국과 인근국가에서 단속을 피하고 강제송환을 당하지않기 위해 숨어 지내고 있고, 인권유린과 착취에 취약한 상태에 있다. 북한으로 강제송환되면 이들은 가혹한 처 벌을 받거나 교수형을 당할 수도 있다. 북한 핵 실험재제를 논의하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중국과 남한정부는 북한이 위험한 핵정책을 포기 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것에 주저해 왔다. 왜냐 하면 강도 높은 재제로 북한의 경제가 붕괴되면 중국과 인근국가로의 탈북자가 급격히 증가할 것 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북한보다는 중국정부가 관련정책을 변경할 것이라는 더 큰 기대가 있고 관련있는 정부들은 월경자(越境者)들의 처지를 개선하는데 훨씬 더 많은 노력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

북한 경제부흥을 겨냥한 2006년 10월 9일의 핵실험에 강경대응을 하지 않고서라도 내부사정 은 심각하게 약화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에 대량 기근사태가 다시 일어날지도 모른다. 지난해 북 한정부는 1990년대에 붕괴되었던 공공식량 배급제도를 재도입했고 국제인도주의지원을 거 부했다. 대신 모니터링을 전제로 하지 않는 개발 원조를 요청했다. 현재 활동중인 원조프로그램이 기금을 확보하는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여름 홍수는 곡식과 기간산업에 피해를 입혔다.

탈북자가 노동자들의 천국(the worker's para-dise)인 북한을 떠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정치 적 억압보다는 굶주림과 회생 불가능한 경제사정 때문이다. 월경의 주된 장애요인은 국경지역의 물리적 장벽이나 삼엄한 경계가 아니라 부족한 정보, 중국 또는 북한 경비대의 체포에 대한 공포, 불충분한 재정때문이다. 중국당국은 숨어 지내는 탈북자들을 집요하게 수색함으로써 국경경비대 의 부족한 면을 보완하고 있다. 2006년 10월 중국당국은 국경을 따라 담장을 치고 월경자들을 찾아 체포하기 위해 접경지역을 감시하기 시작 했다.

이와 같은 강력한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목숨을 걸고 탈출하는 북한사람들의 의지는 더욱 커지고 있고 남한에 귀국할 탈북자가 올해 사상 최고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북한탈출을 결심하는데 작 용하는 외부요인은 바로 중국과 남한에 살고 있 는 가족구성원들이다. 남한에 살고 있는 약 9,000 명의 탈북자들이 그들 가족이 탈출할 수 있도록 자본과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밀반입된 남한비디오, 미국과 남한 라디오방송과 입소문을 통해 매우 적지만 의미있는 정보들이 북한에 퍼 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것들을 접하는 북한사람 들은 새로운 사상과 열망을 갖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탈북자는 공식적인 망명자의 삶을 위해 중국으로 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중국정부 가 그들이 지내기에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기 때 문이다. 그래서 점차 많은 사람들이 수천킬로미 터를 여행할 수 밖에 없고 몽골이나 동남아시아 의 위험한 국경을 넘어 난민의 지위를 획득하고 자 하고 있다. 방콕에서의 2006년 8월 175명과 10월 24일 86명의 망명희망자들에 대한 집단체포는 탈북자들이 머물고 있는 국가들 의 수용력에 한계를 드러낸 생생한 예이다.

안전한 곳에 탈출한 대부분의 탈북자들은 남한에 정착한다. 대부분의 경우 언어, 문화, 가족구성원 들과 재결합 등을 고려한 결정이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타국의 부담스러운 망명자 인정절차가 결 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망명자 인정받는 절차가 부담스러운지 아닌지가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독일을 제외하고 북한 인권개선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정부들, 즉 미국, EU국가들, 일본 등은 고작 소수의 망명자만을 받아들이고 있다.

임시 대피소로서의 인도주의적 원조에 초점을 둔 느슨한 형태의 네트워크는 정치적으로 무장한, 그러나 깨지기 쉬운 지하철도(underground rail-road)로 변화했다. 다른 사람들이 폭력과 착취에 고통을 받는 순간에도 일부 탈북자들이 이곳을 통해 며칠 안에 안전한 서울행을 살 수 있다. 만약 이 네트워크가 가장 취약한 사람들이 당하 는 착취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해 서는 관련정부들은 지속가능한 해결책에 전념해 야 한다.

본 보고서가 제안하는 정책들은 어떤 정부도 충 분히 감당할 수준이다. 북한의 경제가 완전히 붕괴되지 않는다면 국경을 넘는 북한주민들은 북한정부의 엄격한 국내여행 통제와 탈주로 확보 에 드는 비용 등과 같은 지속적인 많은 요인들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그러나 북한주민들의 참상 을 공론화하고 해결책을 행동으로 지원할 때이다. 왜냐하면 첫째, 인류의 양심이 이것을 요구하며, 둘째, 국제사회가 빠르게 해결하지 않으면 핵 문제에 대한 운영상의 합의를 이끌어내기에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2006년 10월 26일, 서울/브뤼셀

Executive Summary

China’s influence on North Korea is more than it is willing to admit but far less than outsiders tend to believe. Although it shar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denuclearisation goal, it has its own concept of how to achieve it. It will not tolerate erratic and dangerous behaviour if it poses a risk of conflict but neither will it endorse or implement policies that it believes will create instability or threaten its influence in both Pyongyang and Seoul. The advantages afforded by Chin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orth can only be harnessed if better assessments of its priorities and limitations are integrated into international strategies. Waiting for China to compel North Korean compliance will only give Pyongyang more time to develop its nuclear arsenal.

China’s priorities with regard to North Korea are:

  • avoiding the economic costs of an explosion on the Korean Peninsula;
     
  • preventing the U.S. from dominating a unified Korea;
     
  • securing the stability of its three economically weak north eastern provinces by incorporating North Korea into their development plans;
     
  •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y replacing aid with trade and investment;
     
  • winning credit at home, in the region and in the U.S. for being engaged in achieving denuclearisation;
     
  • sustaining the two-Korea status quo so long as it can maintain influence in both and use the North as leverage with Washington on the Taiwan issue; and
     
  • avoiding a situation where a nuclear North Korea leads Japan and/or Taiwan to become nuclear powers.

China’s roughly two-billion-dollar annual bilateral trade and investment with North Korea is still the most visible form of leverage for ending deadlock and expediting the nuclear negotiations. However, there is virtually no circumstance under which China would use it to force North Korea’s compliance on the nuclear issue. Even though the crackdown on North Korea’s banking activities in Macao in September 2005 demonstrated that China is not completely immune to outside pressures to rein in bad behaviour, Beijing is unlikely to shut down the North’s remaining banking activities in the country.

China opposes sanctions on North Korea because it believes they would lead to instability, would not dislodge the regime but would damage the nascent process of market reforms and harm the most vulnerable. It also has reasons related to its own quest for reunification with Taiwan – not to mention human rights issues in Xinjiang and Tibet, and its own economic interests in Sudan and elsewhere – for opposing aid conditionality and infringements on sovereignty and being generally reluctant to embrace sanctions.

The bilateral relationship affords China little non-coercive influence over Pyongyang. Viewing it as one sustained by history and ideology ignores powerful dynamics of strategic mistrust, fractured leadership ties and ideological differences. Pyongyang knows Beijing might not come to its defence again in war and fears that it would trade it off if it felt its national interest could benefit.

One factor shaping China’s preference for the status quo in North Korea is the presence of two million ethnic Koreans in the country including an estimated 10,000 to 100,000 refugees and migrants at any one time. Although refugee flows are perceived to present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China in case of political or economic collapse in the North, most Chinese analysts and officials are unconcerned about the short-term threat posed by border crossers. Meanwhile, genuine political refugees are now quietly leaving China and being resettled in South Korea without Chinese opposition – sometimes even with its assistance – so long as they depart without causing embarrassment.

Chinese President Hu Jintao’s visit to Pyongyang in October 2005 and Kim Jong-il’s return visit in January 2006 underscored deepening economic relations. China is undertaking a range of infrastructure projects in and around North Korea and now accounts for 40 per cent of its foreign trade. Since 2003, over 150 Chinese firms have begun operating in or trading with North Korea. As much as 80 per cent of the consumer goods found in the country’s markets are made in China, which will keep trying gradually to normalise the economy, with the long-term goal of a reformed, China-friendly North Korea.

Although it cannot deliver a rapid end to Pyongyang’s weapons program, China must still be an integral component of any strategy with a chance of reducing the threat of a nuclear North Korea. No other country has the interest and political position in North Korea to facilitate and mediate negotiations. It is also the key to preventing transfers of the North’s nuclear materials and other illicit goods, although its ability to do this is limited by logistical and intelligence weaknesses, and unwillingness to curb border trade. Over the long-term, Chinese economic interaction with the North may be the best hope for sparking deeper systemic reform and liberalisation there.

Seoul/Brussels, 1 February 2006

Subscribe to Crisis Group’s Email Updates

Receive the best source of conflict analysis right in your inbox.